type
status
date
slug
summary
tags
category
icon
password
Idea
사업을 준비하고 개발을 하면서 UI를 그려야할 일이 많이 있었는데 디자인 AI 툴이 많이 나와있어서 적지 않은 도움을 받았음.
하지만 각 툴마다 제공하고 필요로 하는 기능들이 달라서 여기에 간단히 정리해 봄.
깊이 있게 사용해 본게 아니라서 부정확 할 수 있습니다.
각 AI 툴이 업데이트 되어서 지금은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.
디자인 AI 툴 비교
Visily
- Lo-fi, Hi-fi, Diagram 기능 지원
- 플로우 차트 및 UI 개발에 AI 기능을 제공하는 듯함
- 플로우대로 UI를 한 번에 그려주지 않는 것처럼 보임
Creatie
- 생성형 AI가 아니고 사전에 정의된 수많은 컴포넌트를 손쉽게 가져오는 방식인 듯함
- 다양한 기본 기능 제공
- Figma에 정의된 파일을 임포트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잘 가져옴
- 물론 완벽하게 가져오지는 않음
Wegic
- 채팅 기반 디자인 인터페이스
- 코드를 가져오는 것에 제한이 있음
Use Galileo
- 결과물이 대체로 다 비슷비슷함
- 결과물을 Figma로 직접 복사 가능한 것이 큰 장점
- 이것 때문에 두 달간 결제해서 사용
- 하지만 Figma에 복제된 것들은 계층 구조가 뒤죽박죽이며 일관성이 부족함
- 개인적으로 결제했을 때, 절반의 크레딧도 사용하기 힘들었음
Uizard
- AI로 전체 흐름을 다 만들어 줘서 전체적인 흐름 설계에 유용
- 그런데 막상 보면 30% 정도만 사용 가능한 것 같았음
- 그래도 이것 때문에 세 달간 결제해서 사용함
- Figma의 컴포넌트를 임포트할 수 있는 방법 제공
- 크고 복잡한 컴포넌트는 임포트가 안 되는 것으로 보임
CraftUI
- 사용해 보지 않음
-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AI 기반 인사이트 제공
Webcrumbs
- 사용해 보지 않음
- 이미지와 텍스트로부터 컴포넌트 생성 가능
- 오픈소스 JavaScript 플러그인 빌더 제공 예정
Motiff
- 무료로 어느 정도 사용 가능
- 주변에서 결과물이 만족스럽게 나왔다고 했음
- 사용해 보지 않음
Figma
- 업계 표준 디자인 툴로, AI 기능을 점진적으로 통합 중
- 아직은 워크플로우 전체를 한 번에 만들어 주지 않음
- Figma 디자인 서포트 개념으로 사용 가능한 듯
- Flutter 코드를 생성해 주는 Figma to Code 플러그인이 있어서 다른 툴로 대체하기가 쉽지 않음
결론
각 디자인 AI 툴마다 특징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음.
Visily나 Uizard는 전체적인 흐름을 잡는 데 도움이 되고, Galileo나 Figma는 실제 디자인 작업에 더 유용해 보임.
결국 자기 작업 스타일이나 프로젝트에 맞춰서 툴을 고르고, 필요하면 여러 개를 섞어 쓰는 게 효과적일 듯.
아직까지 딱 하나로 정착하지는 못함.
생성은 다른 것들로 하더라도 실제 개발할 땐 Figma를 벗어나긴 힘들 것 같음.
- 저자:501
- URL:https://501story.blog/article/compare-ai-design-tool
- 저작권:이 블로그의 모든 글은 특별한 명시가 없는 한 BY-NC-SA 라이선스입니다. 출처를 밝혀주세요.